금연지원서비스
개인수준

금연을 위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면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폐해와 금연이 필요한 이유를 알아보세요.
혹시 과거 금연을 실패한 경험이 있다면 금연 실패의 원인을 분석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금연의 필요성 알아보기
세계보건기구(WHO, 2021)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담뱃값, 흡연으로 인한 질병에 따른 의료비 및 삭감된 임금금액 등 흡연자 1인당 평균 지출 금액은 약 15.6억 원이라고 합니다. 또한 흡연으로 인한 질병 및 사망으로 인한 전 세계적 인적자원 손실 및 의료비 추정 금액은 약 1,565조라고 합니다.
금연을 통해 절약되는 비용은 나의 담뱃값만이 아닙니다. 금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생각해보세요.
-
경제적 이득
금연했을 때 모아지는 돈을 생각해보세요. 하루 담배 한 갑을 피우는 경우 금연을 했을 때 1년 뒤에는 약 164만 원, 5년 뒤에는 약 821만 원을 모을수 있습니다.
-
건강 이득
금연 후 8시간 후에는 혈액 내 산소량이 증가하고, 하루가 지나면 심장마비 위험이 감소하며, 2~3개월 후에는 혈액순환과 폐 기능이 30% 향상됩니다. 1년 후 심장마비 위험이 절반으로 줄어들고, 10년 후 폐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비흡연자와 비슷해집니다.
-
삶의 질 향상
금연하면 우울과 자살 생각이 줄어드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금연시 구차하게 흡연구역을 찾을 필요 없이 더 자유롭고 편안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
환경 보존
매년 버려지는 담배꽁초가 무려 4.5조 개입니다. 담배꽁초로부터 나오는 비소, 납, 니코틴,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들이 우리 환경을 오염합니다.
흡연의 폐해 알아보기
담배에는 4,000여 종 이상의 화학 물질이 있고 세포독성, 돌연변이 유발, 발암 작용 등의 성질을 가진 물질들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대표적인 담배의 구성 성분인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 외에도 청산가리, 아세톤, 암모니아, 우레탄, 페놀, 포름알데이드 등의
화학물질과 벤조피렌 등의 발암물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담배를 피게 된다면 내 몸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건조하고 거친 피부, 기침과 가래, 치아 변색과 지독한 입냄새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뇌졸중, 심장병, 폐암, 구강암, 식도암 등 각종 암을 유발합니다.
<출처>
- -The American Cancer Society (ACS), https://www.cancer.org/cancer/latest-news/never-too-late-to-quit-smoking.html
- -Harrison, R., Munafò, M. R., Smith, G. D., & Wootton, R. E. (2020). Examining the effect of smoking on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triangulation of epidemiological approache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17(6), 701-707. - -U.S.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n.d.). Smoking, smoking-related conditions, and suicide risk. Retrieved October 22, 2024
- -Araújo, M. C. B., & Costa, M. F. (2019). From plant to waste: the long and diverse impact chain caused by tobacco smo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15), 2690.
- -Slaughter, E., Gersberg, R. M., Watanabe, K., Rudolph, J., Stransky, C., & Novotny, T. E. (2011). Toxicity of cigarette butts, and their chemical components, to marine and freshwater fish. Tobacco control, 20(Suppl 1), i25-i29
- -Shah, G., Bhatt, U., & Soni, V. (2023). Cigarette: an unsung anthropogenic evil in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30(21), 59151-59162.“

금연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금연 시작을 망설이신다면 구체적인 금연 계획을 세워보세요.
STAR 금연 계획
-
S: Setting a quit day(금연 동기 확인 및 금연 시작일 정하기)
- 금연 동기를 생각하며 의지 굳히기:
내가 금연해야 하는 이유를 적어봅시다. - 금연 서약서 작성하기:
금연서약서를 작성하며 금연 의지를 굳혀봅시다. - 금연 시작일 정하기: 금연시작일은 특정 기념일, 이삿날, 새해 등 결심의 계기가 되는 날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주말이나 휴일에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금연 시작일 전후 4~5일 동안 중요한 결정 등 심리적인 부담을 주는 일이나 과중한 업무가 있는지 확인하여 피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금연 시작 이후 술자리가 없도록 일정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금연을 시작하기에 앞서 흡연일지 작성하기: 금연을 시작하기에 앞서 흡연 기록지를 작성해봅니다. 담배를 사용할 때마다 그 시간과 장소, 흡연량과 강도를 작은 기록카드 또는 휴대폰 메모장에 기록합니다. 아래 그림을 인쇄하여 담뱃갑에 붙여두거나 담뱃갑 비닐 안에 넣어두고 주말과 평일을 포함하여 3~5일 이상 흡연할 때마다 표시합니다. 이러한 기록을 통해 나의 흡연습관을 파악하고 금연 실천 시 있을 수 있는 흡연욕구 상황을 미리 알아봅니다.
- 금연 동기를 생각하며 의지 굳히기:
-
T: Tell family, friends about quitting(금연 사실 공고화하기)
- 가족이나 친구, 동료들에게 금연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금연 실패를 경험했더라도 당당하게 나의 새로운 금연 시작을 알려 금연 의지와 자신감을 높여보세요
- 가족이나 친구, 동료들에게 금연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A: Anticipate challenge to quit attempt(금연 중 나타날 장애요인 파악하기)
- 금연 중 나타날 수 있는 금단 증상의 종류와 대처방법을 미리 알아보세요.
* 불안/불면: 따뜻한 물로 샤워하기, 가볍게 산책하기, 6시 이후 카페인 섭취 안 하기
* 갈증, 두통: 물 많이 마시기, 물 많이 마시기
* 우울, 신경과민: 운동을 통해 땀 흘리기, 가벼운 산책하기, 심호흡하며 근육 이완 운동하기
* 집중력 감소: 일하는 중간 휴식 가지기, 잠시 눈 붙이기 - 나의 흡연습관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흡연 욕구 상황들에 대한 대처방법도 미리 마련해보세요.
- 흡연욕구 다스리기: 4D
- Delay(지연하기): 흡연 욕구는 단 몇 분만 지나면 사라집니다. 이때 막연히 참지만 말고 금연간식(무가당 껌, 사탕, 과일, 견과류 등)을 활용해주세요.
- Drink water(물 마시기): 물을 마시는 것은 금연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시원한 물은 입 속의 감각을 달리하여 흡연 욕구를 많이 제거해줍니다.
- Do something different(다른 생각하기): 흡연 욕구가 강렬할 때는 다른 것에 몰두하여 주의를 다른 곳으로 전환시킵니다. 일하다 말고 수시로 심호흡 하기, 식사 후에는 산책하기, 운전할 때는 음악 감상하며 노래하기, 지루할 때는 책상이나 주변 청소하기, 아침에 일어난 후에는 샤워하기 등 주의를 전환해보세요.
-
Deep breathing(심호흡하기): 심호흡은 담배연기를 길게 빨아들이는 흡연 습관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흡연 욕구와 금단 증상을 극복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따라 나의 호흡과 몸에 집중해 보세요.
복식호흡 흐름도(4-3-5-3)
편안한 자세에서 한 손은 배 위에, 다른 손은 가슴 위에 얹은 후 숨을 들이마시면서
하나, 둘,셋, 넷 숨을 멈추고 하나, 둘, 셋 숨을 내쉬면서
하나, 둘, 셋, 넷, 다섯 숨을 멈추고 하나, 둘, 셋
- 금연 중 나타날 수 있는 금단 증상의 종류와 대처방법을 미리 알아보세요.
-
R: Remove tobacco product(담배 관련 물건 정리하기)
- 금연 시작 전 재떨이, 라이터, 여분의 담배 등 흡연을 떠올리게 하는 물건을 모두 버리세요. 그리고 차 안, 집 안 베란다 등 흡연을 주로 하는 장소를 깨끗이 청소하여 흡연과 관련된 흔적을 없애고 금연환경으로 바꿀 수 있도록 준비해보세요. 담배 대신 금연 실천 후 활용할 수 있는 간식(무가당 껌, 사탕, 과일, 견과류 등)을 준비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출처>
- -금연길라잡이. (2017). [인포그래픽] 성공적인 금연 시작을 위한 준비 STAR.
- -금연길라잡이. (2017). 흡연욕구 다스리기. 금연길라잡이 NO SMOKE GUIDE.

금연에 대한 동기가 감소하고 과거 흡연 습관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위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금연 유지를 위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 재흡연을 하게 되었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즉시 흡연 멈추기
무너지지 않고 실수를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흡연 상황에 대해 되짚어보기
누구와 있었는지,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기분은 어땠는지 등을 파악해보세요. 금연일기를 작성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금연일기는 효과적으로 자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한 개비의 실수도 반복하지 않기 위한 대처 방안 세우기
재흡연 이유를 파악했다면 또다시 같은 상황에 놓였을 때 어떻게 대처할 지 생각해보세요.
실수가 실패는 아니라는 사실 기억하기
실수가 실패는 아니라는 사실 기억하기
조직수준

조직은 건강생활실천을 방해 또는 촉진하는 정책 및 환경을 조성하므로 조직 내 구성원들의 변화 촉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들이 필요합니다.
캠페인 진행
금연 캠페인은 단순히 흡연 중단을 독려하는 것을 넘어, 금주, 정신 건강 증진, 심혈관질환 관리 등 포괄적인 건강 증진을 목표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흡연은 다양한 건강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금연과 함께 다른 건강 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통합적 접근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고, 장기적인 건강한 생활 습관을 정착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업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금연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사업장 금연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금연 상담을 진행합니다.
금연 자조 모임 구성
자조 모임에 참여하는 구성원은 멘토와 멘티로 나뉘어 금연 성공 팁들을 공유합니다. 금연 담당자는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만남을 주선하며 사내 금연환경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내규정책 만들기
사내 흡연구역 지정 및 정비, 금연위원회(소모임) 구성, 사업장 금연 규정 수립 및 정비, 금연 인센티브 제도 운영 등이 있습니다.
흡연은 개인의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간접흡연으로 인해 동료에게도 피해를 주는 사회적 문제입니다.
바로 옆에서 흡연을 하지 않더라도 담배를 피우고 온 흡연자의 옷과 피부에는 독성물질이 남아 있기 때문에 비흡연자인 동료에게 3차흡연의 피해를 주게 됩니다.
또한 ‘흡연이 노동력 상실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방향 연구’(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20) 결과에 따르면 근로자 흡연으로 인한 연간 기업의 암묵적 손실액은 흡연 근로자 1인당 768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된 비용은 대부분 흡연 휴게와 근로생산성 손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 입장에서도 흡연 근로자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부담하는 비용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직 수준에서도 금연 전략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