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국가금연지원센터 지정 서울금연지원센터

서울금연지원센터, IUHPE World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에서 연구 결과 발표

2025.07.18

86




IUHPE 세계보건증진학회(International Union for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IUHPE)는

전 세계 보건증진 전문가들이 모여 건강 형평성, 지속가능성, 협력적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공중보건

분야의 최신 정책과 실천 전략을 공유하는 권이 있는 국제 학술대회로, 이번 학회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보건정책 사례와 중재 프로그램의 성과, 건강불평등 해소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서울금연지원센터는 지난 5월 13일부터 16일까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세계보건증진학회에

참여하여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주요 결과

   Witnessing the Korean work environment through smoking cessation experiences

       - 서울금연지원센터의 금연상담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직장인 금연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직장 환경에서의 흡연 문화와 금연 전환 과정을 탐색하고자 수행됨. 특히 흡연이 조직 내

         사회적 관계 형성과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기능하는 맥락에서, 금연이 개인의 생활과 업무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조명함

       - 반구조화 인터뷰(semi-structured interview)를 통해 19명의 직장인 금연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통해 주요 경험 주제를 도출함.

         참여자는 모두 서울금연지원센터에서 금연상담 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주요 질문은

         흡연/금연의 계기, 지속 요인, 조직 내 관계 변화 등을 중심으로 구성됨

       -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핵심 주제가 도출됨

          1) 흡연 공동체(Smoking Community): 흡연은 단순한 니코틴 소비를 넘어, 직장 내

              정보 교류와 유대 형성의 장으로 기능함. 일부 비흡연자는 이러한 공동체에서의 소외감을

              경험했으며, 금연 이후 관계 단절에 대한 아쉬움을 표명함

           2) 커뮤니케이션 도구(Communication Tool): 흡연은 업무상 관계를 형성하거나 협상, 상담 시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는 수단으로 활용됨. 특히 고객 응대나 외부 협력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흡연'에 참여하게 되는 현실이 언급됨

           3) 금연 전략(Strategies to Quit): 금연 후 흡연 대체 활동(예: 점심 산책, 계단 걷기, 커피 타임,

              기타 연주 등)을 실천하며 새로운 공동체 형성 또는 업무 집중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발견됨

        - 흡연이 직장 내 '사회적 자본'으로 작용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금연이 단절이 아닌 전환이 되기 위한

           조직 차원의 생태학적 접근(ecological approach)이 필요함을 제안함. 단순히 금연을 권장하는

           수준을 넘어, 흡연 공동체의 대체 공동체 형성, 업무 내 금연 친화적 분위기 조성, 금연자 대상 관계회복

           기회 마련 등의 전략이 요구됨